카테고리 없음
📄 확정일자 안 찍었더니 보증금 밀렸습니다… 전입신고 꿀팁 A to Z
알쓸상사
2025. 5. 10. 21:20
반응형
SMALL
📄 확정일자 안 찍었더니 보증금 밀렸습니다… 전입신고 꿀팁 A to Z
🔐 왜 확정일자와 전입신고가 보증금 보호의 핵심인가요?
많은 사람들이 착각합니다. “계약서에 도장 잘 찍었으니까 됐지” 아닙니다. 임차인에게 ‘대항력’과 ‘우선변제권’을 주는 건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등록이라는 ‘행정행위’입니다.
- 전입신고: 주민등록상 주소를 해당 집으로 옮기는 것 (대항력 확보)
- 확정일자: 계약 날짜를 증명해서 경매 시 우선변제권을 갖게 해줌
둘 중 하나라도 빠지면 보증금 보호 대상이 안 됩니다!
📌 전입신고 & 확정일자 받는 방법
1. 전입신고
- 준비물: 계약서 사본, 신분증
- 장소: 동 주민센터 또는 정부24 온라인 가능
- 기간: 계약일 또는 입주일 중 빠른 날로부터 14일 이내
2. 확정일자
- 계약서 원본 지참 → 동사무소 민원창구 방문
- 공무원이 계약서에 도장(확정일자 스탬프) 찍어줌
- 전자계약서일 경우 자동 부여됨
💡 놓치기 쉬운 포인트 3가지
- ✔️ 전입신고와 확정일자, 같은 날에 처리 가능
- ✔️ 계약일보다 입주일이 늦은 경우, 입주일 기준으로 신고
- ✔️ 가족 동반 입주라면 동반자 모두 주민등록 이전 필요
📌 참고: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계약서 한 장으로 동시에 처리하는 게 가장 효율적입니다.
🔐 마무리
이 두 절차는 단순 행정이 아니라, 보증금을 보호하는 법적 무기입니다. 꼭 2가지 다 해야,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도 가능합니다.
다음 편에서는 **실전 특약 조항 작성법**을 알려드립니다. “그때 이 한 줄만 써뒀더라면…” 후회하지 않도록, 특약은 이렇게 써야 합니다.
반응형
LIST